🦑 봄철 해산물의 효능
봄에는 신선한 해산물도 놓칠 수 없어요.
바다에서 막 건져 올린 제철 해산물은 맛도 좋지만 건강에도 많은 도움을 줍니다.
1. 주꾸미 – 피로 해소 & 두뇌 건강
주꾸미에는 타우린 성분이 풍부해서 피로 해소와 간 기능 개선에 좋아요.
또한 뇌 건강에도 도움을 줘서 집중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죠.
매콤하게 볶아 먹거나 샤부샤부로 즐기면 봄철 원기 회복에 딱 입니다.
2. 도다리 – 근육 건강 & 단백질 보충
봄 도다리는 살이 부드럽고 단백질이 풍부해서 근육 건강에 좋아요.
기름기가 적고 담백한 맛이 특징이라 회나 구이로 먹으면 봄철 보양식으로 손색이 없답니다.
3. 멍게 – 해독 작용 & 간 건강
멍게는 바다의 향이 가득한 별미이자, 간 건강을 돕는 해산물이에요.
특히 해독 작용을 도와 체내 독소를 배출하는 데 효과적이죠.
신선한 멍게를 초장에 찍어 먹으면 바다의 봄을 제대로 느낄 수 있어요.
👉 간단한 레시피로 즐거운 건강한 밥상 만들어봅시다^^
1. 주꾸미볶음 레시피
✅ 준비하시며 재료의 양은 입맛에 맞게 가감하세요^^
- 주꾸미 500g
- 양파 1개
- 당근 반개
- 대파 1개
- 청양고추 2개
- 홍고추 1개
- 다진 마늘 1큰술
- 고춧가루 2큰술
- 간장 2큰술
- 설탕 1큰술
- 올리고당 1큰술
- 참기름 약간
- 깨 약간
✅ 볶아 봅시다~
- 주꾸미는 머리에 손가락을 넣고 뒤집어 줍니다. 뒤집어 내장을 제거하고, 눈과 입 부분을 잘라내세요. 밀가루나 굵은 소금으로 문질러 씻어줍니다. 그런 다음 깨끗한 물에 여러 번 헹구고 물기를 제거합니다.
- 양파,당근, 대파, 청양고추, 홍고추를 먹기좋게 썰어주세요.
- 고춧가루, 간장, 다진마늘, 설탕, 올리고당을 넣고 잘 섞어 양념장을 만듭니다.
- 달군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당근과 양파를 볶다가, 주꾸미와 준비한 양념장을 넣고 센 불에서 빠르게 볶아줍니다.
주꾸미는 오래 볶으면 질겨지므로 2분 정도만 볶아주세요. (고추넣고 더볶아야하니까~) - 마지막으로 대파와 고추를 넣고 한 번 더 볶은 후, 참기름과 깨소금을 뿌려 완성합니다.
2. 도다리쑥국 레시피
✅ 준비하시며 재료의 양은 입맛에 맞게 가감해보세요~
- 도다리 1마리
- 쑥 100g
- 무 200g
- 대파 1개
- 청양고추 2개
- 된장 1큰술
- 국간장 1큰술
- 다진 마늘 1작은술
- 멸치 육수 1.5L
- 소금 약간
✅ 끓여 볼까요~
- 도다리는 비늘을 먼저 제거하고 내장을 빼냅니다.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줍니다.
- 무는 두껍지않게 썰고, 대파와 청양고추도 적당한 크기로 썰어주면 됩니다. 쑥은 깨끗이 씻어 준비합니다.
- 멸치 육수를 넣고 된장을 풀어줍니다.(편리하게 다시팩이용도 추천)
- 육수가 끓으면 무를 넣고 약 5분 정도 끓여줍니다. 손질한 도다리를 넣어주고 도다리가 익은것 같으면 쑥과 대파, 청양고추, 다진 마늘을 넣고 더 끓입니다.
- 간은 소금으로 맞춰줍니다. 재료가 모두 익으면 완성 !
3. 해산물 손질법 & 보관법
- 주꾸미 손질법
앞서 언급한 것처럼, 머리를 뒤집어 내장을 제거하고, 눈과 입 부분을 잘라낸 후 밀가루나 굵은 소금으로 문질러 씻어줍니다. - 주꾸미 보관법
신선한 주꾸미는 바로 조리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, 보관이 필요할 경우 내장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은 후 물기를 제거하여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하면 1~2일 정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.
장기간 보관 시에는 소분하여 냉동 보관하면 됩니다. - 도다리 손질법
비늘을 제거하고 내장을 빼낸 후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줍니다. - 도다리 보관법
손질한 도다리는 키친타월로 물기제거 후 랩으로 밀착 포장하여 냉장 보관하면 1~2일 정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.
장기간 보관 시에는 진공 포장하여 냉동 보관하면 좋습니다.
'건강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슬로우 에이징 꿀팁 10가지, 노화과정을 천천히... (0) | 2025.03.23 |
---|---|
홍역의 발병 원인과 증상, 예방 방법과 주의할 점 (0) | 2025.03.21 |
봄 나물 효능, 냉이된장국과 봄나물된장무침, 간단하고 건강한 레시피 (1) | 2025.03.19 |
이석증 발병원인, 증상과 대처 완화방법, 재발 관리 예방법 (1) | 2025.03.19 |
장염의 증상, 완화방법과 주의해야 할 음식 (2) | 2025.03.17 |